2차 민생회복 소비쿠폰 2025 대상자 총정리|중위소득 계산·신청 방법·사용처
올해 민생경제 회복을 위해 진행되는 민생회복 소비쿠폰, 드디어 2차 지급이 다가왔어요. 이 글에서는 대상자 기준부터 중위소득 계산법, 온라인·오프라인 신청, 지원금액, 사용처/마감일까지 한 번에 정리해 드릴게요. 😊
작성 기준: 2025-08-19 (대한민국, KST)
📌 행정안전부 공식 안내 — 대상·금액·신청기간 한눈에
📌 정부 정책브리핑 — 신청 시작·5부제 등 절차 정리
📌 보건복지부: 기준 중위소득 — 정의·고시 근거
📌 2025 기준 중위소득표 — 가구원 수별 금액
📌 FAQ/사용처·기한 — 사용기한 11.30·지역/업종 안내
1차는 2025.07.21~09.12, 2차는 2025.09.22~10.31 신청이에요. 2차는 전 국민의 90%에게 1인당 10만 원을 추가 지급하는 구조이며, 상위 10%는 제외돼요. 다만 상위 10%의 구체 기준은 현재 범정부 TF 논의 중으로 9월 중 확정 발표 예정이에요.
1) 모든 지급 대상자·지원금액 한눈에
민생회복 소비쿠폰은 전 국민이 대상이며, 소득·지역·취약계층 여부에 따라 금액이 달라요.
구성·금액 (1차/2차/합계)
구분 | 1차 | 2차 | 합계 |
---|---|---|---|
일반 국민 | 15만원 (비수도권/농어촌 인구감소지역 +3만/+5만) |
+10만원 | 25만원 (해당지역 28만/30만) |
차상위·한부모 | 30만원 (+3만/+5만) |
+10만원 | 40만원 (43만/45만) |
기초수급자 | 40만원 (+3만/+5만) |
+10만원 | 50만원 (53만/55만) |
소득 상위 10% | 15만원 (+3만/+5만) |
- | 15만원 (18만/20만) |
신청·지급 기간
- 1차: 2025.07.21(월) ~ 09.12(금)
- 2차: 2025.09.22(월) ~ 10.31(금)
- 상세 금액/구분은 행안부 공식 표를 따름
2) 기준중위소득 계산 방법 (2025년 표 & 예시)
기준중위소득은 우리나라 가구를 소득 순으로 정렬했을 때 중간값이에요. 매년 보건복지부가 고시하며, 다양한 복지·지원사업의 소득선별 기준으로 사용돼요.
① 2025년 기준중위소득표 (월/원)
가구원 수 | 1인 | 2인 | 3인 | 4인 | 5인 | 6인 | 7인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
금액 | 2,392,013 | 3,932,658 | 5,025,353 | 6,097,773 | 7,108,192 | 8,064,805 | 8,988,428 |
* 8인 이상은 7인가구 기준에 가산하여 산정.
② 이렇게 계산하세요
- 가구원 수를 확인해요. (주민등록표 기준)
- 위 표에서 해당 가구의 기준중위소득(100%)을 찾습니다.
- 정책이 요구하는 퍼센트(예: 200%·210% 등)만큼 곱셈해 월 소득 경계선을 계산해요. 예) 4인 210% = 6,097,773 × 2.10
- 본인 월 소득(건보료 등 산정방식은 정책별 상이)과 비교해 충족 여부를 봅니다.
③ (가정) 기준중위소득 210%일 때 월 소득 경계선 예시
가구원 수 | 월 소득 경계선(210%) |
---|---|
1인 | 5,023,227원 |
2인 | 8,258,582원 |
3인 | 10,553,241원 |
4인 | 12,805,323원 |
* 실제 산정은 소득+재산 반영 방식(소득인정액) 또는 건강보험료 기준 등 정책별로 상이해요. 최종 공지 확인 필수!
3) 신청 방법 (온라인·오프라인) & 5부제
온라인
- 카드사 홈페이지/앱/콜센터/ARS에서 신용·체크카드 충전 신청
- 지역사랑상품권 플랫폼/앱(지자체 또는 지역상품권 앱)에서 모바일/카드형 신청
- 광역 지자체 전용 앱(예: 서울페이+)에서도 간편 신청 가능
오프라인
- 제휴은행 영업점 방문하여 선불카드 수령/충전
- 읍·면·동 주민센터 방문 신청(고령자·디지털 취약계층 편의)
신청 기간 & 5부제
- 1차: 7/21~9/12, 2차: 9/22~10/31
- 신청 첫 주에는 출생연도 끝자리 5부제를 운영할 수 있어요. (원활한 접속·분산 목적)
4) 어디서 쓸 수 있나요? (사용처·지역·기한)
사용처
- 지역사랑상품권 가맹점: 전통시장, 동네마트, 식당, 의류점, 미용실, 안경점, 교습소·학원, 약국·의원 등
- 신용·체크·선불카드: 연 매출 30억 원 이하 일반 매장(편의점·빵집·카페·치킨집 등 프랜차이즈 가맹점 포함)
- * 지자체·가맹점 현황은 지역사랑상품권 앱/지자체 홈페이지에서 확인
사용 지역
- 특·광역시(세종·제주 포함) 주소지는 해당 특·광역시 내에서 사용
- 도 주소지는 해당 시·군 지역 내에서 사용
- * 사용기간 중 이사하고 전입신고를 하면, 신용·체크카드 한정으로 사용지역 변경 가능
사용기한
1·2차 모두 2025년 11월 30일(일)까지 사용해야 하며, 미사용 잔액은 소멸돼요.
5) 자주 묻는 질문
Q1. 신생아·영유아도 지급 대상인가요?
A. 전 국민 대상 사업으로, 지급기준일 기준 국내 체류 등 요건을 충족하면 지급 대상에 포함될 수 있어요. 세부 요건은 각 지자체 공지와 행안부 FAQ를 확인하세요.
Q2. 2차 때 상위 10% 기준은 확정됐나요?
A. 아직 확정 전이에요. 9월 중 최종 발표가 나면, 위의 가정표 대신 공식 기준으로 재확인하세요.
Q3. 어디가 더 많이 받나요?
A. 비수도권/농어촌 인구감소지역은 지역 가산(+3만/+5만)이 적용돼 합계가 더 커질 수 있어요.
마무리|이렇게만 기억하세요
- 2차 신청: 9/22~10/31, 상위 10% 제외(기준은 9월 확정 예정)
- 중위소득 계산: 가구원 수 확인 → 2025 표에서 금액 확인 → 요구 % 곱하기
- 신청 경로: 카드사·지역상품권 앱/홈페이지/콜센터/ARS, 은행·주민센터
- 사용처·지역: 지역사랑상품권 가맹점 & 연매출 30억 이하 매장, 주소지 지역 내
- 마감: 사용기한은 11/30까지 (미사용 소멸)
최종 기준 고시가 나오면 본문 표를 업데이트해 드릴게요. 궁금한 지자체 앱/은행 목록도 정리해 드릴 수 있어요. 🙌
참고할만한 출처
- 행정안전부: 민생회복 소비쿠폰 안내 · FAQ/사용처·기한
- 정부 정책브리핑: 신청 시작·절차(5부제)
- 보건복지부: 기준중위소득 정의·근거 · 2025 기준중위소득표
- 행정안전부 설명자료: “2차 기준 확정 전” 안내
'All about information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전기차 세액공제·지원금 2025 총정리 | 신청 방법·금액·절세 팁 (1) | 2025.08.19 |
---|---|
제12호 태풍 ‘기라이(Kirai)’ 실시간 확인 (0) | 2025.08.19 |
2025 민생회복 소비쿠폰 Q&A 총정리: 신생아부터 군인까지 꼭 알아야 할 10가지 (5) | 2025.07.15 |
유튜브 프리미엄 요금제 비교 및 해지 전 알아둘 점 (2025) (1) | 2025.07.15 |
인스타그램 이모티콘 활용법 2025 완벽 가이드 | 숨겨진 꿀팁부터 주의사항까지 (4) | 2025.07.14 |